인프라(Infrastructure) 3

[개념정리] SOA와 MSA 차이점

* 공부와 업무 정리를 위해 포스팅 합니다.* 정확하지 않는 내용이 있을 수 있으니 참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SOA (서비스 지향 구조) 1) 서비스가 서로 통신하는 거대한 서비스 모음. 2) SOA 프레임워크는 모든 구성 요소를 보는 서비스로서, 소프트웨어 구조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사용. 3) 통신은 일반적으로 데이터 전달을 위해 사용했던 SOA에서 제공되며, 두 개 이상의 서비스를 통신하고 여러 활동을 완료할 수 있음. 4) SOA 특징  - Loosely coupled (느슨한 결합)  - Reusable (재사용성)  - Composable (구성 가능)  - Autonomic (자율성)  - Standardized (표준화) 2. MSA (마이크로서비스 구조) 1) 대다수 ..

업무에서 Docker 컨테이너 런타임 경험기

현재 내가 담당하는 시스템은 MSA 설계로 쿠버네티스(k8s)로 여러 컨테이너를 오케스트레이션 하고 있다. 하지만 이미 구축된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기에 자세한 내부 기동 프로세스는 알지 못했다. 이번에 운 좋게도(?) 관련 개선 건이 오지 않았다면 말이다. 개선 건 내용은 이랬다. [개선 사항] Mission. 특정 컨테이너에 설치된 메시지 전송 모듈을 교체하라. 해당 모듈을 start/status/stop 만 했었기에 교체 작업에 대해 막막했다. 대략적으로 컨테이너에 기존 모듈을 지우고, 신규 모듈 설치 및 config 설정 파일 변경하여 개발/운영 테스트 시나리오를 구상했다. 1. 구조 파악하기 - 특정 컨테이너 원본 이미지(Docker) 위치 파악 -> (habor repository) - Dock..

[정리] On-premise 서버 -> Azure 클라우드 전환(IaaS) 경험

※ 해당 포스팅은 개인적인 클라우드 전환(IaaS)에 관한 생각을 다루고 있습니다. 클라우드 전환에 대한 정확한 분석 및 가이드는 어렵습니다. 업무를 하다보면 내 의지와는 다르게 여러 일을 겪는 것 같다. 클라우드 전환도 이에 포함이었다. 기존 VM 서버를 잘 이용하고 있었지만 Azure 클라우드로 전환해야 한다는 지침이 내려왔고, 직접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하는 건 아니었지만 Application 담당자인 나는 전환에 필요한 시스템 정보 등을 지원하는 역할이었다. 그 전환 과정을 대략 아래처럼 정리해보았다. 직접 작업을 했다면 정확히 알았을텐데... 업무 영역이 분리되었기에 참여도가 높진 않았기에 지금 생각해보면 조금 아쉬운 부분이다. 기존 VM 서버 -> 클라우드 전환 1. 기존 VM 서버 분석 - 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