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29

HTTP 개념 특징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Application Layer 의 프로토콜이며, HTML 문서와 같은 리소스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해준다. [HTTP 역사] - HTTP/0.9 1991년: GET 메서드만 지원, HTTP 헤더X - HTTP/1.0 1996년: 메서드, 헤더 추가 - HTTP/1.1 1997년: 가장 많이 사용(대부분의 스펙이 들어있음) - HTTP/2 2015년: 성능개선 - HTTP3 진행중 : TCP 대신에 UDP 사용, 성능 개선 TCP/UDP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 - TCP : HTTP/1.1, HTTP/2 - UDP : HTTP/3 [HTTP 전송 예] - HTML, TEXT - IMAGE, 음성, 영상, 파일 - JSON, XML(API) - 서..

네트워크/Http 2022.08.08

[공유] 화면설계서 작성방법

화면정의서/화면설계서 관련 기본적인 작성 내용을 담고 있는 내용입니다. PPT 로 작성하며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한편으론 요즘은 PPT 외 다른 Tools 이 많기에, 관련 내용을 찾아봐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yslab.kr/148 [웹/앱 설계의 기본] 화면설계서 작성방법 프로덕트 매니저와 기획자의 메인 업무 중 하나는 UI 설계입니다. 이를 업계에서는 화면설계서, 화면정의서, 스토리보드, MMI(Man Machine Interface)등 다양한 이름으로 부르고 있는데요. 고놈이 고놈 yslab.kr

화면 기획 2022.08.01

HTTP 요청/응답코드/Body

HTTP 요청 GET, POST, PUT, DELETE 메서드가 있습니다. GET : 리소스를 가져올 때 사용 POST : 리소스에 대해 생성, 수정을 할 때 사용 PUT : 리소스를 대체(수정)할 때 사용 DELETE : 리소스를 삭제할 때 사용 HTTP 메서드가 위의 기능을 하지만, 전적으로 API를 개발하는 사람에게 달려 있습니다. HTTP 응답 200 : 성공적으로 요청 처리 404 : 해당 리소스가 존재하지 않음 403 : 송신자의 해당 리소스 접근 권한이 없음 500 : 서버 에러 HTTP 바디(Body) 인터넷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교환하려면 JSON(Javascript Object Notation) 형태로 변환해야 합니다. 숭/수신자 모두 이해할 수 있는 형태이죠.

네트워크/Http 2022.07.18

npm 과 npx 명령어 차이

npm(Node Package Module) : 모듈 설치 명령어 - npm i(install) 모듈이름 -g(글로벌) 글로벌 옵션으로 설치는 좋은 방법은 아니라고 합니다. 1) 모듈 업데이트 여부 확인이 안됨 2) 다양한 프로젝트를 운영 할 시 글로벌 모듈의 버전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npx : npm 5.2 버전부터 npx가 기본 패키지로 제공 -> 모듈을 로컬에 저장하지 않고, 매번 최신 버전의 파일만을 임시로 불러와 실행 시킨 후에, 다시 그 파일은 없어지는 방식

괴짜 CEO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행보?

1. 트위터, 머스크 적대적 인수 시도에 '포이즌 필' 가동 - 일론 머스카가 트위터 100% 인수 후 상장 폐지 계획을 발표했다. 이로 인해 트위터는 포이즌 필을 가동하여 적대적 인수의 방어막을 가동했다. - 일론 머스크의 트위터 활용력은 파급력이 대단했지만, 어떤 의중으로 트위터를 삼키려는 것인지 알 수 없다. - 처음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위해 주식을 인수를 했지만, 이사회를 통해 자신의 의견이 관철되지 않자 마음을 바꾼 것일까? https://zdnet.co.kr/view/?no=20220416093618 트위터, 머스크 적대적 인수 시도에 '포이즌 필' 가동 일론 머스크의 인수 제안을 받은 트위터 이사회가 최후 방어수단을 발동했다.트위터 이사회가 15일(현지시간) 경영권 방어를 위해 포이즌 필(독..

대세는 메타버스인가?

IT 뉴스기사를 볼 때마다 메타버스 내용은 빠지지 않는 것 같다. 게임업계의 주주총회가 대부분 끝났고,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블록체인을 접목한 게임을 선보이겠다는 내용을 보았다. 블록체인이며 NFT며 메타버스이며.. 하나의 주제만 하더라도 트렌드가 아닌게 없는 듯 하는데.. 큰 틀에서 보면 메타버스의 세계의 일부는 NFT 로 구성되며, NFT 는 블록체인 기반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보면 될까? 트렌드에 크게 관심이 없었지만 이번에는 공부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페이스북도 사명을 '메타'로 변경한 마당에.. 앞으로 새로운 플랫폼은 메타버스가 될 것이라고 하니 책이라도 사던가, 유튜브라도 보던가 해야지,, 특히 '메타'는 메타버스로 핵심 사업을 옮겨가며, 인스타그램에도 NFT 를 적재하여 서비스를 할 것이..

22년은 메타버스가 주력인가?

올해 네이버, 카카오의 신임 대표가 내정된다. 인수 합병과 글로벌 사업 역량의 대표와 게임 업계에 있었던 대표이다. 글로벌 사업의 확장과 그에 따른 기업 인수를 진행 할 것이고 메타버스는 그 중심으로 성장 모맨텀이 될 것 같다. 네이버는 '제페토' 라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있고, 최근 누적 가입자 3억 명이라고 한다. 그에 반해 아직까지 수익은 크지 않은 것 같지만, 성장 가능성이 있는 건 분명해 보인다. 카카오는 네이버에 비해 대표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이 없다. 하지만 카카오게임즈 라는 게임사가 있기에 IP를 통한 메타버스 서비스가 나올 것 같다. 또한 게임 업계에선 메타버스 환경에 기반이 될 수 있는 NFT(Non Fungible Token) 에 주력하는 것 같다. NFT는 쉽게 이해하면 가상현실의 어떤..

객체지향 이란

최근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도서를 읽고 나름대로 내용 정리를 하며 포스팅을 하려 합니다. https://book.naver.com/bookdb/book_detail.nhn?bid=9145968 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 객체지향에 대한 선입견을 버려라!『객체지향의 사실과 오해』는 객체지향이란 무엇인가라는 원론적면서도 다소 위험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쓰여진 책이다. 안타깝게도 많은 사람들이 객체지 book.naver.com 1. 객체란? 역할, 책임, 협력의 관점으로 볼 수 있음 -> 예로 카페 서비스를 3개의 객체로 들 수 있습니다. 1) 손님 -> 주문 하기(역할/책임) 2) 캐시어 -> 주문 전달(역할/책임) 3) 바리스타 -> 커피 제조(역할/책임) 각 객체는 역할이 주어지며, 그에 대한 책임은 ..

2021 하반기 회고

2021년 하반기가 정신없이 지나갔다.회고 할 내용이 크게 없긴 하지만, 업무나 회사에 대한 생각을 남겨본다.(그런데 회고 내용이 크게 없는 것은 문제이지 않을까..)1. 시스템 1인 운영 (선임자 팀원 부재)시스템 히스토리를 알고 있는 팀원 2명이 떠났다.새로운 시스템 운영에 이제 갓 합류한 나로서는 당황스럽고 어떻게 혼자 1인 운영을 해야 할까 고민이 들었다.인력 보충이 빨리 되어야 겠지만 일단 상황에 적응해본다.. 1인 운영을 하면서 느낀 장단점을 써본다. [장점]1. 업무 책임감이 높아져 시스템 이해도 빠르게 성장2. 주도적인 의사결정과 SOR 처리 진행 [단점]1. 업무 과중 및 장애 발생 시 정상적인 운영 업무 수행 불가2. 잦은 야근 및 커리어 관리 부실(기회 비용 놓침)3. 다방면의 기술 ..

생각정리 2022.02.28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좋은 객체 지향 설계에 대해 간략히 정리해봅니다. 사실 프로그래밍 할 때 이런 원칙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하는 게 많았지만 나중에 소스는 지저분 해지고 기능 수정 시 여러 고려사항 또한 많았습니다. 이로인해 다시 한번 설계를 잘 해야겠다고 느낍니다. [OOP(Object Oriented Programming) 설계 5가지 원칙(SOLID)] 1. 단일 책임 원칙 - SRP(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함 - 중요한 기준은 변경 영향도이다. (변경이 있을 때 파급 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른 것) - 여러 책임을 갖게 되면 그만큼의 관여도와 변경에 대한 요구가 있을 수 있고 해당 모듈(클래스) 수정이 빈번하게 일어날 수 있음 2..